
개발자들이 Git을 쓰는 이유는 서로의 파일을 동기화하기 위해서죠
사실 이건 개발자뿐만이 아니라 어떤 파일이 됐건 누군가와 같이 일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한 일입니다
문서의 경우에는 특히 대혼돈의 멀티버스에 빠지기 쉽죠

그렇다고 포기했다가는 진짜 최종본을 가려내기 위해 작성자까지 찾아내야 할 수 있으므로
1차 방어선으로 시놀로지 드라이브를 통해 모두가 같은 폴더에 접근하게 만드려고 합니다
시놀로지 드라이브

시놀로지 드라이브 홈페이지에 가보면 동기화 및 백업, 원활한 공동 작업을 특징으로 내세우고 있죠
이게 제가 원하던 특징들입니다. 모두가 같은 파일에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들고 싶거든요!
시놀로지 드라이브 설치
사용하기 위해 시놀로지 드라이브 설치 및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
Synology Drive | 어디서든지 파일을 관리 및 공유할 수 있는 프라이빗 클라우드 | Synology Inc.
중앙 집중식 관리 콘솔 Synology Drive 관리 콘솔을 사용하여 중앙 집중식 대시보드에서 서버 및 클라이언트 상태와 활동을 모니터링할 수 있습니다. 파일 액세스와 다운로드를 지속적으로 확인하
www.synology.com
드라이브 홈페이지에 들어가서

[클라이언트 다운로드]를 통해 자신의 운영체제에 맞는 파일을 받고 설치해 줍니다

설치는 별거 없으니 그냥 진행해 주시면 됩니다~

[마침]을 누르면 요런 창을 볼 수 있는데 아직 [지금 시작]을 누르지 마세요!
아직 이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포트를 열지 않아서 어차피 로그인을 할 수 없습니다
먼저 드라이브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을 해주고 갈게요
팀 폴더 활성화

[제어판] - [Synology Drive 관리 콘솔]에 들어가 주세요

[팀 폴더] 항목에서 원하는 파일을 골라주시고 [사용]을 눌러주세요

필요하시다면 버전을 저장해 주는 기능인 버저닝을 활성화해주시고
입맛에 맞게 옵션을 골라주세요
다만 이 '버저닝' 기능은 '문서(최종).hwp'처럼 저장하는 게 아닌
시놀로지가 임의로 만든 임시이름(ex.AF32ED23)으로 저장해 버리기 때문에
효율적인 문서관리 수단은 될 수 없다는 점 알아두세요!

저는 예비용으로 사용하기 위해 체크해 주었습니다
필요 없으시면 비활성화하시고 [확인] 눌러주세요

이제 Document 폴더를 팀 폴더로 사용할 준비가 끝났습니다🫡
6690 포트포워딩
사내 NAS 도입 (7) - 포트포워딩, DDNS, Let's Encrypt 인증서
지금까지의 설정은 NAS 내부의 설정이었다면 이제부터는 NAS 밖에서 안으로 접근하는 외부 액세스 방법들을 설정할 겁니다 퀵 커넥트, DDNS, Let's Encrypt 인증서 등의 용어가 뭔지 몰라도 설정이 가
devgrong.tistory.com
포트포워딩이 뭔지 모르겠다면 위 글을 참고해 주시고
시놀로지 서비스의 네트워크 포트 목록을 살펴봤을 때 Synology Drive Server는 다음과 같은 포트를 씁니다

이중에 이번에 저희가 열어줄 포트는 6690입니다

각자의 공유기에서 6690 포트를 열어주세요
DSM 응용 프로그램 설정


나중에 드라이브 설정이 끝나고 윈도우 탐색기에서 문서를 열 때
자꾸 5001 포트를 타고 들어가려고 하니 미리 drive 프로그램에 도메인을 따로 할당해주겠습니다
(※5001 포트를 열어두신 분들은 정상적으로 접근 가능합니다! 저는 5001 포트를 닫아뒀어요)

[제어판] - [로그인 포털] - [응용 프로그램] - [Synology Drive] 더블 클릭!

- 별칭 : 원하시는 이름을 해두시면 아래 (로그인)에 뜨는 QuickConnect 주소로 접속이 가능합니다
퀵 커넥트를 쓰지 않는 분들은 생략하셔도 돼요! - 사용자 지정된 도메인 : '원하는이름'+'DDNS'를 입력하시면 그 주소로 접속이 가능합니다
- HSTS 활성화 : http로 요청이 올 시 https로 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✅!
정보가 입력이 됐으면 [저장]을 눌러주시고

Synology Drive에 있는 링크를 클릭했을 때, 혹은 브라우저 주소창에 저 도메인을 쳤을 때

이런 페이지가 보이면 설정이 잘 된겁니다👍
드라이브 클라이언트 설정

위에 2가지 설정을 모 마치셨다면 이제 [지금 시작]을 눌러주세요

- Synology NAS : DDNS가 있으신 분들은 "DDNS주소:6690"를, 없으신 분들은 QuickConnect ID를 넣어주세요
- 사용자 이름 : DSM 로그인할 때 쓰는 ID
- 패스워드 : DSM 로그인 패스워드
정보를 채워주시고 [다음]을 누르시면

DDNS를 입력했을 경우 QuickConnect로 전환할지 묻는데 이건 [나중에]로 패스해 줍니다

(2단계 인증이 걸려있는 계정의 경우 설정했던 Authenticator(OTP) 프로그램의 인증 코드를 입력해 주세요)

이제 어떤 식으로 컴퓨터와 시놀로지가 파일을 주고받을지 설정하게 되는데
저는 모두의 파일이 동일한 형태이길 원하기 때문에 [동기화 작업]을 선택할게요

- 맨 위에는 아까 시놀로지 드라이브 관리 콘솔에서 팀 폴더로 활성화해 줬던 Document 폴더를 선택해 줬고
- 컴퓨터에는 D드라이브에 SynologyDocument라는 폴더를 따로 만들어서 선택해 줬습니다
- [요청 시 동기화]는 파일에 접근할 때만 동기화를 하겠다는 옵션이고
저희는 모든 문서를 Document 한 폴더 내에서 관리할 예정이라 모든 파일을 동기화하는 옵션은 꺼줬습니다

이제 [완료]하면

시놀로지 드라이브 클라이언트에서 양방향 동기화가 활성되어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습니다

확인을 위해 D드라이브에 있는 SynologyDocument 폴더에 Test.txt를 만들어줬습니다
옆에 Status가 ✅되면 시놀로지 상의 Document에도 동일한 파일이 올라가는 걸 확인할 수 있네요👍
문서가 아닌 일반 파일도 이런 식으로 해서 여러 명이 함께 동기화하면서 쓸 수 있는 폴더를 만들 수 있습니다
다만 제 경우에는 일반 파일이 아닌 문서가 핵심이므로 이어서 문서 버전관리에 대해 더 다뤄보도록 할게요
도움이 됐으면 좋겠습니다!
질문 댓글 남겨주세요
좋은 하루 되세요 :)
'NA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사내 NAS도입 (13) - 시놀로지 캘린더 (0) | 2023.02.13 |
---|---|
사내 NAS 도입 (12) - 한컴 한글 문서 버전 관리 (0) | 2023.02.10 |
NAS 정보 - 시놀로지 공유폴더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(2) | 2023.02.06 |
NAS 정보 - 시놀로지 Windows 탐색기에서 접근하기 (0) | 2023.01.26 |
사내 NAS 도입 (10) - Gitea 설치 (1) | 2023.01.26 |